5. 大韓國民總會
組織年月日 民國元年十月二日
全鮮各道會代表二十四名(江原道ヲ除ク) 平壤ニ集合シコレヲ組織ス
目 的
獨立事業ニ屬シ政府ヲ內應幇助シ官民同化ヲ主トシ 民智ヲ開發スルヨ 努力ス
組 織
鄕村會, 府郡會, 道大會, 國民總會ノ四部ニ分チ 各會ヨリ 會員數ノ十對一ノ割合ニテ總代ヲ 選出ス
中心 人物
• 會 長 : 朴寅寬, 副會長 : 鄭德生, 總 務 : 朴承明
• 書 記 : 柳萬燮, 金興鍵, : 會 計 : 林英奭, 李文柱
• 評議員 : 高鑽翰, 宋炳祚, 梁錫垢, 蔡弼根, 金泰熙,裵恩希, 金吉昌, 鄭泰熙
• 會員數 : 一萬余名
• 事 業 : 大韓民報(週報)ヲ旣ニ三十號迄發行シ 以後引繼キ發行スル豫定
大韓民國元年
[풀이]
대한국민총회
조직 연월일 민국원년(1919년) 10월 2일
전국 각 도회 대표 24명(강원도를 제외) 평양에 집합하여 대한국민총회를 조직함
목 적
독립 사업에 속하여 정부를 지원하고, 관민동화를 중심으로 민도를 개발하도록 노력함
조 직
향촌회, 부군회, 도대회, 국민총회의 4부로 분류되고, 각 회에서 회원수의 10대1의 비율로 총회대표를 선출함
중심 인물
• 회 장 : 박인관, 부회장 : 정덕생, 총 무 : 박승명,
• 서 기 : 유만섭, 김흥건, 회 계 : 임영석, 이문주,
• 평의원 : 고찬한, 송병조, 양석구, 채필근, 김태희,배은희, 김길창, 정태희.
• 회 원 수 : 1만여 명
• 사 업 : 대한민보(주보)를 이미 30호까지 발행하였고 이후 계속하여 발행할 예정
대한민국 원년(1919년)
*『朝鮮民族運動年鑑』 (日本語版) p. 48 (上海 臨時政府에서 押收 報告文件)
6. 督辦府職員名簿
忠淸北道督辦府職員名簿
郡 名 職 名 氏 名
道 督 辦 府 督 辦 李 鎔
參 事 李 春 求 (一名 李光一)
同 鄭 雲 基 (一名 鄭 濯)
同 金 泰 熙 (一名 李世基)
同 金 正 賢 (一名 金有成)
淸 州 郡 郡 監 鄭 雲 會 (一名 鄭雨張)
槐 山 郡 郡 監 徐 廷 殷 (一名 宋津元)
參 議 員 鄭 遠 澤 (一名 鄭圭津)
趙 光 淳 (一名 趙久燮)
趙 東 一 (一名 趙義植)
李 載 春 (一名 李彰榮)
警 監 金 敬 模 (一名 鄭春根)
丹 陽 郡 郡 監 元 容 甲 (一名 元河一)
提 川 郡 郡 監 李 義 植 (一名 李回根)
參 事 玄 聖 煥 (一名 玄信元)
參 議 員 金 相 俊 (一名 金容洙)
忠 州 郡 郡 監 朴 承 翊 (一名 朴箕柄)
參 事 元 容 河 (一名 元敬成)
報 恩 郡 郡 監 李 奭 求 (一名 李 球)
大韓民國二年
[풀이]
■ 독판부 직원명부
충청북도 독판부 직원명부
군 명 직 명 성 명
도독판부 독 판 이 용
참 사 이 춘 구 (일명 이광일)
동 정 운 기 (일명 정 탁)
동 김 태 희 (일명 이세기)
동 김 정 현 (일명 김유성)
청 주 군 군 감 정 운 회 (일명 정우장)
괴 산 군 군 감 서 정 은 (일명 송진원)
참 의 원 정 원 택 (일명 정규진)
조 광 순 (일명 조구섭)
조 동 일 (일명 조의식)
이 재 춘 (일명 이창영)
경 감 김 경 모 (일명 정춘근)
단 양 군 군 감 원 용 갑(일명 원하일)
제 천 군 군 감 이 의 식 (일명 이회근)
참 사 현 성 환 (일명 현신원)
참 의 원 김 상 준 (일명 김용수)
충 주 군 군 감 박 승 익 (일명 박기병)
참 사 원 용 하 (일명 원경성)
보 은 군 군 감 이 석 구 (일명 이 구)
대한민국 2년(1920년)
*『朝鮮民族運動年鑑』 (日本語版) p. 124 (上海 臨時政府에서 押收 報告된 文件임)
7. 京城における朝鮮靑年會聯合會組織に關する狀況報告の件
大正十年一月十八日 高警第三四九號
(秘) 靑年會統一計劃
朝鮮靑年會統一計劃に關しては曩に趣旨書配布後(客年七月二十日高警第二一九五五號參照)執行委員に於て朝鮮靑年會聯合會組織の爲極力奔走の結果全鮮に亘り多數靑年會の入會を得(會名代表者別紙の如し)客年十二月 京城鍾路中央基督敎靑年會館に於て第一回創立總會を開催するに至りたるか各地方より參會せる代表及副代表者百餘名に達し數日に 亘り凝議の後別紙豫算案能力比例及憲章草案(本草案は議決後 多少不備の點あるを發見し第一回定期總會に於て改正の筈)等を議決し役員の選擧を行ひたり而して尙資本金五千圓を以て『我聲』と題する月刊機關雜誌を發刊すへく目下敎務部長安廊等頻りに奔走中なり.
組織團體一覽表 (組織團體一覽表中에서淸州靑年會 以外는 省略함)
[풀이]
△ 서울 조선청년회연합회 조직에 관한 상황보고의 건
1921년 1월 18일 고경 제349호
(비) 청년회 통일계획
조선청년회 통일계획에 관하여는 지난번 취지서 배포 후(작년 7월 20일 고경 제21955호 참조) 집행위원에서 조선청년회연합회 조직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한 결과 전국에 걸쳐 다수 청년회가 입회하였다 (회명 대표자 별지와 같음). 작년 12월 서울 종로 중앙기독교청년회관에서 제1회 창립총회를 개최함에 이르러 각 지방에서 참가한 대표 및 부대표자 100여 명에 달하고, 수일간에 걸친 회의 후 별지 예산안 능력비례 및 헌장초안 (본 초안은 의결 후 다소 불비한 점이 있음을 발견하고 제1회 정기총회에서 개정) 등을 의결하여 임원 선거를 하고 또한 자본금 5천원으로『아성』이란 월간 기관 잡지를 발간하고 있음. 현재 교무부장 “안랑(安廊)” 등이 바쁘게 뛰고 있음.
조선 청년회 도연합회 조직단체 일람표
*『明治百年史叢書 朝鮮獨立運動』 第 1券分冊, 民族主義運動篇 (日本語版) pp. 489.